아래 별하늘지기 카페에 올라온 글 중 아주 유용한 글이 있어 공유해봅니다.
[출처] 안시 관측자를 위한 필터(UHC, O3, Hβ) 선택 가이드 (별하늘지기) | 작성자 고영해l은빛날개위에
https://cafe.naver.com/skyguide/366497
안시 관측자를 위한 필터(UHC, O3, Hβ) 선택 가이드
대한민국 모임의 시작, 네이버 카페
cafe.naver.com
망원경을 구입한 이후 파인더와 아이피스까지 구비가 끝나면 누구나 관심을 가지게 되는 장비가 바로 필터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가급적 필터를 구비하라고 조언하는 반면 실제 필터를 사용한 후기는 조금씩 갈립니다. 보통 안시용 필터로 UHC필터와 O3필터를 구비하는 것을 추천하는데 UHC와 O3중 선호도도 다르고 필터별로 가격도 천차만별이지요. 비싼 것을 사려니 돈값을 못할 것 같고 저렴한 것을 사자니 믿을 수가 없는 딜레마에 직면합니다.
먼저 안시 필터의 개념부터 확실하게 하고 가자면, 필터는 들어오는 빛 중 원하지 않는 일부분을 차단하고 나머지만 투과시키는 것을 말합니다. 안시필터로 관측하는 대상은 주로 '성운'에 한정됩니다. 그 이유는 뒤에서 설명드립니다. 배경은 99% 가깝게 차단해서 아주 어둡게 만들고 대상인 성운은 90% 이상 투과해서 아주 조금 어두워지는 것으로 대비를 늘려주어 관측을 돕습니다.


배경 대상 배경
50 50 50 70 50 50 50 (노필터)
01 01 01 63 01 01 01 (필터)
예를 들면 위의 노필터에서 배경은 50, 대상은 70일 경우 배경과 대상 차이는 20입니다. 필터를 사용하면 불필요한 부분이 약 98%차단된다고 할 때 50->01로 감소합니다. 원하는 대상은 70에서 90%투과한다 가정하면 63이 됩니다. 결과적으로 대상은 어두워졌지만 배경과 대상 차이가 61로 증가하므로 더 잘 느껴지게 됩니다.
필터 차트를 보는 방법을 알고 가면 좋은데, 필터 차트는 가로축이 빛의 파장(nm), 세로축이 투과도(%)이고 그 필터가 투과되는 영역을 그래프로 표현합니다. 예를 들어 아래의 루미콘 O3필터 차트를 보면 약 490~503nm 파장의 O3영역의 빛만 95%이상 통과시키고 나머지 빛은 거의 통과시키지 않음을 알 수 있습니다. 당연히 투과도는 백분율이기에 100이 최댓값이고 0이 최솟값입니다.

이때 우리가 신경써야 하는 부분이 방출선입니다. 우리가 관측하려는 성운은 고온의 가스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성운 가스원자 속 전자가 에너지를 방출할 때 일정한 파장의 빛을 방출합니다. 주로 천체관측에서는 수소(H), 산소(O), 황(S)이 주로 나타나기에 차트에 해당 방출선이 표시되어 있습니다. 656.3nm 부근의 H-alpha가 성운의 붉은기를 '사진'으로 표현할 때 가장 많이 사용하는 파장입니다. 위 루미콘 O3 필터차트에서 496nm, 501nm 근처의 초록 선이 O3, O3 왼쪽 486nm 근처 파란 선이 Hβ, 656nm 근처의 빨간선이 Hα입니다.
더해서 안시용 필터가 주로 '성운'(반사성운 제외)에 사용되는 이유도 유추해볼 수 있습니다. 별, 성단, 은하, 반사성운 등은 발광성운처럼 특정 방출선 영역의 빛을 내보내는 것이 아니라 전 파장대의 빛을 방출합니다.(세이퍼트 은하의 경우 방출선을 보인다고 하는데... 실제 성운처럼 유의미한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ㅠ.ㅠ) 쉽게 생각해보면 태양을 떠올리면 되는데, 특정 파장대의 빛이 주로 나오는 것이 아니기에 필터를 써도 배경과 대비가 살아나지 않습니다. 뭐 광해 파장대의 빛을 걸러내서 약간 나아질 수 있지만 그것도 크게 유효하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뒤의 광대역 필터의 단점에서 기술하겠습니다.
여기서 잠시 짚고 넘어가야 하는 부분이 있는데, 바로 안시에서 사용하는 파장 영역입니다. 많은 성운에서 풍부하게 방출되는 Hα 영역의 수많은 빛을 안시관측에서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정확히는 사용하지 '못'한다는 표현이 맞겠네요.
잠시 샛길로 빠지자면 사람의 시세포에는 색상을 구분하는 원뿔세포(과거명칭은 원추세포)와 명암을 구분하는 막대세포(과거명칭은 간상세포)가 있습니다. 이 세포들은 CCD처럼 들어오는 빛에 반응하여 뇌에 신호를 보내주는데 각각의 세포마다 가장 잘 받아들이는 파장대의 빛이 정해져 있습니다. 문제는 색상을 구분하는 원뿔세포가 명암을 구분하는 막대세포에 비해 둔하다는 점입니다. 즉 극히 어두운 관측지, 거기다 망원경으로 모아도 미약한 성운빛으로는 원뿔세포를 자극시킬 수 없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성운의 색상을 눈으로 느끼는 것이 불가능하죠. 대신 막대세포가 예민해서 명암은 느낄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별자리곰님의 게시물(https://m.cafe.naver.com/skyguide/244705)을 보시면 좋습니다.


여기서 아래의 시세포별 흡수율을 보면 왜 성운 안시관측에서 Hα 영역이 필요없는지 알 수 있습니다. 아래의 검정선이 막대세포의 파장별 흡수율인데 600nm 이상의 파장은 흡수율이 0에 가깝습니다. 즉 성운에서 아무리 Hα 방출선을 보내도 우리 눈은 장님이나 마찬가지입니다. 다행인 점은 수소(H)에서 α선만이 아니라 β선도 방출하는데 486nm 근처의 빛이라 Hβ선은 막대세포가 느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수소선 다음으로 많이 방출되는 산소(O)선도 496nm, 501nm 근처의 빛이라 불행 중 다행이라 할 수 있습니다.

다시 본론으로 돌아와서 안시용 필터에서는 막대세포가 느낄 수 있는 498nm파장 근처의 빛 중 대표적인 Hβ(486nm), O3(496, 501nm)의 투과율이 가장 중요합니다. 여기의 빛을 어느 정도 파장대까지 얼마만큼 통과시키느냐에 필터의 특성과 성능이 결정됩니다. 보통 원하는 파장대의 빛이 90%이상 투과하면 '괜찮음', 95%이상이면 '우수함'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필요한 파장 외의 빛은 최대한 99% 이상 차단하는 것이 좋은 필터입니다.
여기서 용어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습니다. 바로 광대역과 협대역 같은 용어인데 해외의 포럼을 참고했을 때 사진이나 우리나라에서 사용하는 것과 약간 차이가 있습니다. 일단 필터의 투과 영역에 대해 크게 3가지로 분류합니다.
1. 광대역(Broadband) 필터
2. 협대역(Naorrowband) 필터
3. 라인(Line) 필터 (또는 Band-Pass 필터)

첫 번째 광대역(Broadband) 필터는 광해와 관련이 있는데 일반적으로 수은이나 나트륨 파장의 빛 영역대를 막아 전체적인 배경을 어둡게 만들어 전체적인 가시성을 높여줍니다. 루미콘(Deep-sky), 아스트로노믹(CLS), 셀레스트론(LPR), 싸우전드오크(LP-1), 오리온(Skyglow)필터 등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광대역 필터의 문제는 최근 가로등이나 광해의 대부분이 나트륨등에서 LED 등으로 바뀌었다는 점입니다. LED등은 별지기들에게 불행하게도 전 영역대의 빛을 방출합니다. 그래서 과거보다 광대역 필터의 안시관측 효과가 떨어졌습니다. (해외의 일부 유저들은 이런 이유로 광대역 필터를 비추천합니다.) 우리나라에서도 대광해필터를 잘 추천하지 않는 이유도 마찬가지입니다.
두 번째 협대역(Narrowband) 필터인데 이 부분이 사진파와는 약간 차이가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특히 사진파) Hα, O3, S2필터를 협대역 필터라고 하는데 비해 해외에서 협대역 필터라고 하면 안시관측에서 핵심적인 Hβ와 O3영역 21~30nm파장폭의 빛을 투과시키는 UHC 필터를 의미합니다. 여기서 UHC란 Ultra High Contrast의 약자인데 루미콘의 UHC필터가 대표적입니다. 루미콘(UHC), 아스트로노믹(UHC), DGM(NPB), 텔레뷰(NebustarII), 오리온(Utrablock) 등의 필터가 역기에 해당합니다. 루미콘 UHC도 Hα 영역을 차단하는 것과 Hα 영역을 투과하는 필터로 세대에 따라 다릅니다.
기본적으로 해외에서는 Hα 영역을 차단하고 순수하게 안시관측에 필요한 Hβ와 O3만 투과하는 필터가 더 좋다고 여기는 것 같습니다. Hα 영역을 투과하면 성운의 디테일은 좀 더 죽고(잡광), 대신 시야에 별이 더 많이 드러납니다.(별색도 푸른색이 좀 죽습니다.) 반대로 Hα 영역이 차단되면 성운의 디테일은 좀 더 살아나고 대신 시야의 별이 줄어들고 푸르딩딩해집니다.
여기서 "아까 어두워서 원뿔세포가 아닌 막대세포만 작용한다면서요?"라는 질문이 들어올 수 있는데, 성운과 달리 밝은 별은 망원경을 통해 빛을 모았을 때 성운에 비해 광량이 높아 막대세포가 아닌 원뿔세포가 작용할 수 있습니다. (사실 그것도 중심와 부분에 원뿔세포가 모여 있어 가능한 것이지만) 그래서 밝은 별에서 나오는 Hα영역 빛은 인식 가능합니다. 그래서 알비레오같은 별의 주황색과 청색을 느낄 수 있죠. 다만 성운관측시에 주변 별은 관측 대상이라 보기는 어렵습니다. 그래서 대상인 성운 관측에 초점을 두면 Hα영역은 차단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다만 주변별이 너무 푸르딩딩해지는 것이 거슬리는 분이라면 디테일이 조금 죽더라도 Hα 영역을 투과하는 필터가 나은 선택이 될 것입니다.
전체적으로 해외에서는 UHC는 루미콘을 가장 높게, 거의 차이 안 나는 수준으로 아스트로노믹과 DGM, 텔레뷰를 꼽고 약간 차이나는 수준으로 오리온(해외에서도 오리온 필터 하우징의 악명은...)을 꼽습니다. 저의 경우는 스카이와쳐의 UHC를 사용하고 있는데 찾아보니 오리온의 Ultrablock과 동일하거나 비슷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었습니다. 필터의 경우 각 메이커별로 제작하기보다는 OEM으로 납품받아 브랜드 이름만 걸고 판매하는 경우가 많아 흐린밤에서도 각각 사용한 후기들을 통해 같아보이는 제품들을 찾아내고 있습니다. ^^
그런데 UHC필터가 많이 판매되면서 문제가 발생합니다. 기존의 협대역 필터보다는 더 넓은 파장대(30nm~40nm)를 투과시키면서 광대역 필터보다는 좁은 파장을 투과시키는 필터가 UHC라는 동일한 이름으로 여기저기서 출시되었다는 점입니다. 바더(UHC-S), 아스트로노믹(UHC-E), 아스트로텍(UHC), DGM(VHT), ES(UHC), KSON(UHC)의 필터가 기존의 협대역보다는 넓은, 광대역보다는 좁은 영역의 빛을 투과합니다. 그래서 해외에서는 이 부분의 필터를 따로 중대역(Mid band) 필터 또는 Narrowband-Wide로 분류하기도 합니다.
최근 저렴해서 많이 추천하는 Optolong(UHC), SVBony(UHC), Angeleyes(UHC) 필터도(48nm~) 모두 여기에 해당합니다. 그래서 같은 UHC필터에 대한 만족도가 모두 다르고 "싼게 비지떡이다."라는 이야기가 나오는 것입니다. 루미콘 UHC필터를 사용했던 사람 입장에서는 옵토롱 UHC필터가 크게 효과가 없다고 느낄 수 있습니다.


그럼 협대역 UHC필터는 좋은 필터이고 중대역 UHC필터는 가짜이냐? 실제 해외에서는 극단적으로 그렇다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긴 합니다만(중대역 UHC를 사용했을 때 아무런 효과가 없었다는 주장) 전체적으로는 사출동공에 따라 사용처가 다르다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원래 의미의 협대역인 30nm이하의 대역폭의 경우 사출동공이 2mm이상인 경우에 사용을, 옵토롱같은 중대역(~50nm) UHC는 사출동공 1mm에, 대역이 더 넓어지면 1mm보다 작은 사출동공에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주장이 일반적입니다.
예를 들어 제 12인치 돕은 f5인데 사출동공 2mm면 협대역 UHC를 사용할 때는 10mm이상의 아이피스를 사용해야 합니다. 10mm보다 배율을 높이고 싶으면 협대역 UHC필터보다는 중대역 UHC필터가 더 적합하다고 볼 수 있겠죠? 물론 사출동공에 관한 내용은 각각의 망원경과 관측지, 관측환경에 따라 다르기에 일률적인 기준을 둘 수는 없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광량이 부족한 상태에서 좁은 협대역 필터를 사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정도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즉 90mm(f8)굴절에 10mm로 관측하면 루미콘이 아니라 루미콘 할아버지를 써도 의미가 없겠죠.
마지막으로 라인(Line) 필터 또는 밴드패스(Band-Pass) 필터는 일반적으로 해당 파장만 투과하는 좁은 영역 필터로 우리나라에서 이 라인밴드 필터를 협대역 필터로 많이 설명합니다. 안시에서는 Hβ 필터와 O3필터가 여기에 해당합니다. 여기서도 각 필터별 차트를 보면 필터의 특성을 어느 정도 예측할 수 있습니다.
제가 사용하는 텔레뷰 O3는 O3영역 파장을 97%정도 투과하고 나머지 영역은 거의 막아줍니다. 반면 미드의 O3필터는 O3역역 투과율이 85~90%입니다. 그리고 Hα 영역의 빛도 95%이상 투과합니다. 차트만 보면 미드보다 텔레뷰 O3필터가 성운을 좀 더 밝고 디테일을 표현해줄 것입니다. 미드 O3는 Hα 영역을 투과시키기에 주변 별이 초록색으로 보이는 현상이 조금 적고 별이 좀 더 많이 보일것입니다. (물론 제조사의 차트를 100% 신뢰할 수는 없습니다.)


또 다른 필터로 제가 가진 Hβ 필터는 옵토롱사의 필터인데 이 필터는 차트상 Hβ 파장의 90%만이 아니라 496nm 파장의 O3영역을 상당부분 투과시킵니다.(501nm 파장의 O3는 대부분 차단) 루미콘이나 아스트로노믹의 Hβ 필터가 Hβ 투과율이 95%, O3영역 차단율이 높은 것을 비교해보면 옵토롱사의 Hβ 필터는 루미콘 Hβ를 100이라고 하고 UHC 0이라고 할 때 70%지점 정도에 위치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또 하나 애매한 것은 옵토롱 Hβ 필터의 차트가 매우 부정확하다는 점입니다. (예를 들어 방출선 위치가 조금씩 안 맞음) 그리고 대역폭이 12nm인지 25nm인지 정확하지 않습니다. 실제 해외에서 직접 테스트한 결과는 약 20nm정도의 대역폭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기존의 라인필터 대비 넓은 대역폭이 약점으로 지적되었습니다. 분광광도계를 통해 실제 분석한 필터별 투과대역은 다음 게시물을 참조하시면 좋습니다.

필터제조사별 실제 투과대역
https://www.astroamateur.de/filter/
https://buil.astrosurf.com/filters/curves.htm#TeleVue%20NebuStar
Astronomical filter curves
buil.astrosurf.com
개인적으로는 옵토롱 Hβ가 나쁜 선택은 아니라고 생각했는데, 제 망원경이 12인치로 구경이 큰 편이 아니라 너무 대역폭이 좁으면 광량이 부족할 수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또한 Hβ는 중고로 거의 나오지 않아 신품 구입을 해야 하는데 루미콘이나 아스트로노믹 Hβ는 가격이 정말 사악합니다. 사용처가 UHC나 O3에 비해 제한적인 Hβ에 망원경의 특성을 고려할 때 옵토롱이 괜찮은 선택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에 선택했는데... 만약 제 12인치로 말머리를 본다면 나쁘지 않은 것일테고 못 본다면... 잘못된 선택일 듯 합니다. ^^
안시용과 사진용 필터 차이도 알고 넘어가야 할 부분입니다. 일단 앞에서 언급했듯이 성운을 보기 위한 필터이기 때문에 650nm를 넘어가는 라인 필터는 사진용 필터로 보시면 됩니다. (ex. Ha, S2 등) 투과대역폭이 좁으면 원하는 빛만 투과해서 디테일을 살릴 수 있습니다만 눈은 빛을 축적하는 것이 불가능합니다. 그래서 투과폭이 10nm 이하의 라인필터 또한 실질적으로 안시필터로 사용하기 어렵습니다. (3nm, 7nm등은 모두 사진용 필터로 보시면 됩니다.) 12nm이상의 투과폭을 가지는 필터가 안시용 필터로 보시면 됩니다. 라인필터는 12~15nm 투과폭으로 해당 방출선 부근을 커버하는 필터가 좋습니다.
안시용 필터를 구입할 때 하는 또다른 고민 중 하나인 UHC가 나은가 O3가 나은가에 대한 문제로 넘어가보겠습니다. 둘 중 하나에 손이 더 가는 것이 사실인데 명확하게 관측 데이터로 이에 대해 분석한 자료가 있어 소개합니다. David W. Knisely의 'Filter Performance Comparisons for Some Common Nebulae'실제 관측에서의 두 필터 사용 결과로 93개 성운 대상에 대한 관측 데이터를 기반으로 합니다. (https://www.cloudynights.com/articles/cat/user-reviews/accessories/astronomical-filters/filter-performance-comparisons-r1471)
5점: 노필터보다 매우 크게 개선됨
4점: 노필터보다 크게 개선됨
3점: 노필터보다 적당히 개선됨
2점: 노필터보다 약간 개선됨
1점: 노필터와 비슷함
0점: 노필터보다 나빠짐
93개 대상에 대해 4가지 안시용 필터를 사용한 결과인데 평균점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1위
|
협대역 UHC
|
평균 3.55
|
제조사: 루미콘
|
2위
|
라인 O3
|
평균 3.19
|
제조사: 루미콘
|
3위
|
광대역 Deep Sky
|
평균 2.20
|
제조사: 루미콘
|
4위
|
라인 Hβ
|
평균 1.44
|
제조사: 루미콘
|
사용처에 따라 조금씩 다르지만 협대역 UHC가 가장 활용도가 높고 O3가 그 다음입니다. 아마 일반적으로 저렴해서 많이 사용하는 중대역 UHC의 경우에는 3위인 광대역 루미콘 Deepsky보다는 높고 협대역UHC보다는 낮을 것으로 예상됩니다.(투과 차트 상 예측) 중대역UHC가 협대역 UHC의 80~90%라고 하면 평균점수가 2.84~3.19로 O3보다 조금 낮지 않을까 합니다. 즉 옵토롱이나 스보니의 중대역 UHC를 구입하려 하신다면 이보다 O3라인 필터를 구입하시는 것이 더 좋은 선택이 될 것입니다. (이 부분은 데이터에 기반한 개인적 추측입니다.^^)
결론적으로 필터를 구입하실 때 필터차트와 후기들을 보시고 내 망원경에 어느 것이 적합할지 고민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중대역 필터로서 사용할 것인지 협대역 필터로 사용할 것인지 선택해야 자신에게 맞는 UHC필터를 구입할 수 있겠죠. 최소한 UHC 필터가 모두 같은 필터가 아니라는 것 정도는 알아야 구입할 때 손해보지 않을 수 있을 것입니다. 정말 대상인 성운에만 집중하기 위해 Hα 영역을 차단할지, 주변 별도 신경쓰여 Hα 영역을 투과할지도 결정해야 후회가 없겠죠? 그리고 품질관리 문제로 제작사에서 제공하는 차트와 실제 투과율 차트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점도 명심해야 합니다. 검증된 메이커일수록 제공 차트와 실제 차트가 비슷합니다.(품질관리가 됨) 중국산 제품에 뽑기 운이 작용하는 것은 필터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정리하자면
1. 필터 투과대역에 따라 광대역, 협대역, 중대역, 라인필터로 나뉜다.
2. 안시 필터는 주로 발광성운을 대상으로 하며 Hβ, O3파장이 중요하고 Hα 영역은 무의미하다.
3. UHC필터도 투과대역에 따라 협대역과 중대역이 있다.
4. 필터 대역폭에 따라 적정 사출동공이 다르다.
5. 실제 관측결과에 따르면 협대역UHC -> O3 -> Hβ 순서로 활용도가 높다.
6. 가급적 검증된 필터, 실제 대역폭 검사 기록이 있거나 차트를 신뢰할 수 있는 제품을 선탁하는 것이 좋다. (최소한 차트를 해석하는 눈은 기르자)
마지막으로 제조사별 필터와 대략적인 가격, 대역폭을 정리한 파일을 소개해드립니다.
자료출처는 흐린밤의 https://www.cloudynights.com/topic/817105-2022-nebula-filters-buyers-guide/입니다.
(역시 덕중의 덕은 양덕이라...)
Brand
|
Model
|
Type
|
Price 1.25
|
Price 2.00
|
notes
|
365 Astronomy
|
UHC
|
UHC-wide (w/red?)
|
$ 47.44
|
n/a
|
|
Antares
|
UHC
|
UHC (w/red? Or w/o red?)
|
$ 43.00
|
$ 66.00
|
30nm bandwidth
|
Aomekie
|
O-III
|
|
$ 48.00
|
|
10nm bandwidth
|
Aomekie
|
UHC
|
|
$ 23.00
|
|
?
|
Arcturus
|
Broadband
|
CLS/Broadband
|
$ 79.95
|
$ 119.95
|
62nm bandwidth
|
Arcturus
|
H-Beta
|
H-Beta
|
$ 79.95
|
$ 119.95
|
12nm bandwidth
|
Arcturus
|
O-III
|
O-III
|
$ 79.95
|
$ 119.95
|
35nm bandwidth?
|
Arcturus
|
UHC
|
UHC WIDE w/red
|
$ 79.95
|
$ 119.95
|
35nm bandwidth?
|
AS Research
|
O-III
|
O-III WIDE
|
$ 55.00
|
$ 105.00
|
~25nm bandwidth
|
AS Research
|
UHC
|
UHC WIDE w/red
|
$ 45.00
|
$ 95.00
|
~60nm bandwidth
|
Astronomik
|
CLS
|
CLS Type (broadband)
|
$ 69.95
|
$ 159.95
|
92nm bandwidth
|
Astronomik
|
H-Beta
|
H-Beta
|
$ 110.00
|
$ 220.00
|
12nm bandwidth
|
Astronomik
|
O-III Visual
|
O-III
|
$ 99.95
|
$ 199.95
|
14nm Bandwidth
|
Astronomik
|
UHC
|
UHC w/red
|
$ 99.95
|
$ 199.95
|
24nm bandwidth
|
Astronomik
|
UHC-E
|
UHC-WIDE w/red
|
$ 65.95
|
$ 129.95
|
35nm bandpass
|
Astro-Tech
|
O-III
|
O-III (w/red?)
|
$ 49.95
|
n/a
|
16nm bandwidth
|
Astro-Tech
|
UHC
|
UHC (w/red?)
|
$ 49.95
|
n/a
|
32nm bandwidth
|
Baader
|
H-Beta
|
H-Beta
|
$ 132.00
|
$ 219.00
|
8.5nm bandwidth
|
Baader
|
Moon & Sky Glow filter
|
Broadband Notch filter
|
$ 79.99
|
$ 132.99
|
n/a
|
Baader
|
O-III
|
O-III
|
$ 104.00
|
$ 179.00
|
9nm bandwidth (1 line)
|
Baader
|
UHC-S
|
CLS Type (broadband)
|
$ 89.00
|
$ 147.00
|
61nm bandwidth
|
Burgess Optical
|
O-III
|
O-III
|
n/a
|
$ 59.00
|
18nm bandwidth
|
Castell
|
O-III
|
O-III-wide
|
$ 58.60
|
$ 75.93
|
23nm bandwidth
|
Castell
|
UHC
|
UHC-WIDE w.red
|
$ 47.40
|
$ 78.74
|
~60nm bandwidth
|
Celestron
|
OXYGEN-III
|
O-III
|
$ 54.95
|
$ 79.95
|
10nm bandwidth (1 line)
|
Celestron
|
UHC/LPR
|
CLS Type (broadband)
|
$ 54.95
|
$ 74.95
|
58nm bandwidth
|
Chroma
|
LoGlow LP filter
|
Broadband Notch filter
|
$ 265.00
|
$ 425.00
|
n/a
|
Chroma
|
O-III filter
|
O-III
|
$ 265.00
|
$ 475.00
|
7nm bandwidth (1 line)
|
Custom Scientific
|
H-Beta
|
H-Beta
|
$ 400.00
|
$ 600.00
|
10nm bandwidth
|
Custom Scientific
|
Multi-band
|
UHC w/red
|
special order
|
special order
|
28nm bandwidth
|
Custom Scientific
|
O-III
|
O-III
|
$ 330.00
|
$ 500.00
|
8nm bandwidth (1 line)
|
Denkmeier
|
Hi-Def O-III
|
O-III
|
$ 99.00
|
$ 149.00
|
15nm bandwidth
|
Denkmeier
|
Hi-Def UHC
|
UHC WIDE w/red
|
$ 99.00
|
$ 149.00
|
40nm bandwidth
|
DGM Optics
|
GCE (galaxy contrast enhancing)
|
CLS Type (broadband)
|
$ 80.00
|
$ 160.00
|
60nm gap
|
DGM Optics
|
NPB(narrow pass band)
|
UHC w/red
|
$ 75.00
|
$ 150.00
|
24nm bandwidth
|
DGM Optics
|
OIII
|
O-III w/red
|
$ 85.00
|
$ 170.00
|
15nm bandwidth
|
DGM Optics
|
VHT(very high transmission)
|
UHC WIDE w/red
|
$ 70.00
|
$ 140.00
|
36nm bandwidth
|
Explore Scientific
|
CLS
|
CLS Type (broadband)
|
$ 76.99
|
$ 89.99
|
100nm bandwidth
|
Explore Scientific
|
H-Beta
|
H-Beta WIDE
|
$ 89.99
|
$ 142.99
|
18nm bandwidth
|
Explore Scientific
|
O-III
|
O-III WIDE
|
$ 79.99
|
$ 109.99
|
28nm bandwidth
|
Explore Scientific
|
UHC
|
UHC-WIDE w/red
|
$ 69.99
|
$ 99.99
|
48nm bandwidth
|
Farpoint
|
Deep Sky CLS Type (broadband)
|
CLS Type (broadband)
|
|
$ 189.99
|
70nm bandwidth
|
Farpoint
|
H-Beta
|
H-Beta
|
|
$ 170.99
|
10nm bandwidth
|
Farpoint
|
UHC
|
UHC
|
$ 109.95
|
$ 249.95
|
27nm bandwidth
|
Future Optics (OPT)
|
CLS CLS Type (broadband)
|
CLS Type (broadband) width?
|
$ 49.00
|
$ 99.00
|
?
|
Future Optics (OPT)
|
Moon & Sky Glow
|
Broadband Notch filter
|
$ 39.95
|
$ 49.95
|
n/a
|
Future Optics (OPT)
|
O-III
|
O-III (width?Red?)
|
$ 59.00
|
$ 119.00
|
?
|
Future Optics (OPT)
|
UHC
|
UHC (width?Red?)
|
$ 49.00
|
$ 99.00
|
?
|
Garrett
|
LPR filter
|
|
|
$ 49.95
|
?
|
Garrett
|
UHC
|
|
|
$ 74.95
|
?
|
Gosky
|
LPR filter
|
|
|
$ 38.73
|
?
|
HuTech-IDAS
|
D1 LPS
|
Broadband Notch filter
|
$ 179.00
|
$ 189.00
|
n/a
|
HuTech-IDAS
|
D1 QRO LPS
|
Broadband Notch filter
|
$ 249.00
|
n/a
|
|
HuTech-IDAS
|
H-Beta passband modifier
|
turns neb.filter into line filter
|
12nm bandwidth
|
||
HuTech-IDAS
|
Nebula filter LPS-V4
|
UHC-WIDE w/red
|
$ 189.00
|
$ 189.00
|
31nm bandwidth
|
HuTech-IDAS
|
O-III passband modifier
|
turns neb.filter into line filter
|
16nm bandwidth
|
||
HuTech-IDAS
|
P2 LPS
|
Broadband Notch filter
|
$ 179.00
|
$ 189.00
|
n/a
|
ICE
|
O-III
|
|
|
$ 49.95
|
10nm bandwidth
|
Intercon Spacetec (ICS)
|
H-Beta
|
H-Beta
|
$ 109.00
|
$ 219.00
|
12nm bandwidth
|
Intercon Spacetec (ICS)
|
O-III
|
O-III
|
$ 109.00
|
$ 219.00
|
12nm bandwidth
|
Intercon Spacetec (ICS)
|
UHC
|
UHC w/red
|
$ 109.00
|
$ 219.00
|
30nm bandwidth
|
Intercon Spacetec (ICS)
|
UHC-E
|
UHC-WIDE w/red
|
$ 72.00
|
$ 138.00
|
45nm bandwidth
|
Kenko
|
LPR filter type 1 331699
|
|
|
$ 162.65
|
|
KSON
|
O-III
|
O-III
|
$ 45.95
|
$ 69.95
|
?
|
KSON
|
UHC
|
UHC WIDE w/red
|
$ 49.00
|
$ 95.00
|
33nm bandwidth
|
Levenhuk
|
Ra CLS
|
CLS Type (broadband) width?
|
n/a
|
$ 89.95
|
?
|
Levenhuk
|
Ra O-III
|
O-III
|
n/a
|
$ 109.95
|
15nm bandwidth
|
Levenhuk
|
Ra UHC
|
UHC (width? w/red?)
|
$ 79.95
|
$ 109.95
|
?
|
Lumicon
|
DeepSky
|
CLS Type (broadband)
|
$ 149.99
|
$ 299.99
|
70nm bandwidth
|
Lumicon
|
H-Beta
|
H-Beta
|
$ 149.99
|
$ 299.99
|
10nm bandwidth
|
Lumicon
|
O-III
|
O-III
|
$ 149.99
|
$ 299.99
|
11nm bandwidth
|
Lumicon
|
Swan Band (O-III + C2)
|
Comet Filter (or O-III WIDE)
|
$ 149.99
|
$ 299.99
|
22nm bandwidth
|
Lumicon
|
UHC
|
UHC
|
$ 149.99
|
$ 299.99
|
24nm bandwidth
|
Olivon
|
O-III
|
O-III
|
?
|
?
|
15nm bandwidth
|
Olivon
|
UHC
|
UHC
|
?
|
?
|
30nm bandwidth
|
Omegon
|
Deep Sky
|
CLS Type (broadband) width?
|
$ 64.90
|
$ 64.90
|
?
|
Omegon
|
Nebula/City Light/LP filter
|
Broadband Notch filter
|
$ 43.89
|
n/a
|
Notch filter
|
Omegon
|
O-III
|
O-III Wide
|
$ 75.90
|
$ 108.90
|
25nm Bandwidth
|
Omegon
|
Pro CLS
|
CLS Type (broadband) filter
|
$ 108.90
|
$ 163.90
|
80nm Bandwidth
|
Omegon
|
Pro O-III
|
O-III
|
$ 108.90
|
$ 218.90
|
12nm Bandwidth
|
Omegon
|
Pro UHC
|
UHC Wide w.red
|
$ 108.90
|
$ 163.90
|
50nm Bandwidth
|
Omegon
|
Pro-H-Beta
|
H-Beta WIDE
|
$ 108.90
|
$ 218.90
|
25m Bandwidth
|
Omegon
|
UHC
|
UHC Wide
|
$ 75.90
|
$ 108.90
|
30nm Bandwidth
|
Opticstar
|
UHC
|
CLS Type (broadband)
|
$ 57.00
|
$ 99.75
|
57-60nm bandwidth
|
Optolong
|
CLS
|
CLS Type (broadband) WIDE
|
$ 55.00
|
$ 85.00
|
100nm bandwidth
|
Optolong
|
H-Beta (narrow)
|
H-Beta
|
$ 119.00
|
$ 179.00
|
12nm bandwidth
|
Optolong
|
Moon & Sky Glow filter
|
Broadband notch filter
|
$ 49.00
|
$ 70.00
|
n/a
|
Optolong
|
O-III
|
O-III WIDE
|
$ 78.00
|
$ 108.00
|
25nm bandwidth
|
Optolong
|
UHC
|
UHC WIDE w/red
|
$ 55.00
|
$ 85.00
|
48nm bandwidth
|
Orion
|
H-Beta
|
H-Beta
|
$ 109.99
|
$ 139.99
|
12nm bandwidth
|
Orion
|
O-III
|
O-III
|
$ 109.99
|
$ 139.99
|
15nm bandwidth
|
Orion
|
SkyGlow
|
CLS Type (broadband)
|
$ 79.99
|
$ 89.99
|
62nm bandwidth
|
Orion
|
UltraBlock
|
UHC
|
$ 79.99
|
$ 119.99
|
29nm bandwidth
|
PrimaLuce Lab
|
UHC
|
UHC WIDE w/red
|
$ 75.90
|
$ 113.30
|
50nm Bandwidth
|
SkyWatcher
|
Light Pollution Reduction LPR
|
Broadband Notch filter
|
$ 27.00
|
$ 40.50
|
n/a
|
SkyWatcher
|
O-III
|
O-III
|
$ 58.50
|
$ 88.50
|
15nm bandwidth
|
SkyWatcher
|
UHC
|
UHC-wide
|
$ 58.50
|
$ 88.50
|
30nm bandwidth
|
Solomark
|
CLS
|
CLS Type (broadband), bandwidth?
|
$ 47.02
|
$ 79.19
|
?
|
Solomark
|
H-Beta
|
H-Beta (bandwidth? Red?)
|
$ 65.33
|
$ 176.72
|
?
|
Solomark
|
Light Pollution Filter
|
?
|
$ 35.09
|
n/a
|
?
|
Solomark
|
Moon & Sky Glow filter
|
Broadband Notch filter
|
$ 12.99
|
$ 26.10
|
Notch filter
|
Solomark
|
UHC
|
UHC (bandwidth, red?)
|
$ 46.97
|
$ 45.53
|
?
|
StarGuy
|
Moon & Sky Glow
|
Broadband Notch filter
|
$ 119.00
|
$ 169.00
|
n/a
|
StarGuy
|
O-III
|
O-III WIDE
|
$ 119.00
|
$ 169.00
|
28nm bandwidth
|
StarGuy
|
UHC
|
UHC WIDE w/red
|
$ 119.00
|
$ 169.00
|
46nm bandwidth
|
SVBONY
|
CLS
|
CLS Type (broadband)
|
$ 21.99
|
$ 43.99
|
64nm Bandwidth
|
SVBONY
|
H-Beta
|
H-Beta Wide
|
$ 54.99
|
$ 59.99
|
25nm Bandwidth
|
SVBONY
|
O-III
|
O-III Wide
|
$ 54.99
|
$ 75.99
|
18nm bandwidth
|
SVBONY
|
UHC
|
Narrowband-Wide
|
$ 21.99
|
$ 43.99
|
50nm Bandwidth
|
Telescope Service
|
CLS CLS Type (broadband)
|
CLS Type (broadband)
|
$ 64.90
|
$ 130.90
|
~90nm bandwidth
|
Telescope Service
|
H-Beta
|
H-Beta WIDE
|
$ 97.90
|
$ 163.90
|
23nm bandwidth
|
Telescope Service
|
O-III
|
O-III WIDE w/red
|
$ 75.90
|
$ 97.90
|
26nm bandwidth
|
Telescope Service
|
UHC Narrowband
|
UHC (w/red?)
|
$ 59.40
|
$ 97.90
|
47nm bandwidth
|
ThousandOaks
|
LP-1 CLS Type (broadband)
|
CLS Type (broadband) width?
|
$ 89.00
|
$ 179.00
|
?
|
ThousandOaks
|
LP-2 Narrowband
|
UHC w/red
|
$ 89.00
|
$ 179.00
|
26nm bandwidth
|
ThousandOaks
|
LP-3 O-III
|
O-III w/red
|
$ 89.00
|
$ 179.00
|
10nm bandwidth (1 line)
|
ThousandOaks
|
LP-4 H-Beta
|
H-Beta w/red
|
$ 89.00
|
$ 179.00
|
9nm bandwidth
|
Zhumell
|
O-III
|
O-III-WIDE
|
$ 69.99
|
$ 36.98
|
30nm bandwidth
|
Zhumell
|
UHC
|
UHC
|
$ 29.98
|
$ 39.98
|
15nm bandwidth
|
Zhumell
|
Urban Sky LPR filter
|
CLS Type (broadband) width?
|
$ 29.98
|
$ 29.98
|
?
|
'천문관측 > 관측장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양렌즈 135mm 무한대 초점 잡기 (0) | 2025.01.14 |
---|---|
천체촬영용 드롭인필터드로우 만들기 (0) | 2025.01.11 |
천체촬영을 위한 첫 망원경 선택하기 (2) | 2024.12.30 |
딥스카이 촬영을 위한 미러리스 세팅 (3) | 2024.12.04 |
셀레스트론 NexStar 127SLT (0) | 2024.09.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