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스펙트럼 미러리스 카메라 광시야 촬영(1탄)

Location : Gangjin County, Jeollanamdo Province, South Korea
Date : Sep. 5,6,8,9,10th , Oct. 8,9,10th
Telescope : Askar acl200
Camera : Canon Eos- RP
Mount : Hobym crux140
Filter : Optlong L-Quad, L-eXtreme
Guide : zwo 120mm mini
Control system : zwo asiair pro
Exposure : L-Quad 180*60, L-eXtreme 300*80/bias, dark, flat
Edit : pixinsight, photoshop
강진으로 근무지를 옮긴 후 여름부터 지금까지 확보한 데이터 중 하나를 처리해봤다.
가을철 유명한 대상인 하트성운 태아성운 그리고 맨눈으로 식별이 가능한 페르세우스이중성단이다.

Canon RP에 Askar acl200으로 광시야를 찍어보았는데 디더링을 무심코 해제하고 찍었더니 줄무니패턴이 눈에 거슬린다.
다만 이전에 사진 상하로 길게 보이던 노이즈패턴은 렌즈 먼지 혼입방지용 클립인필터를 제거하고 나니 감쪽같이 사라졌다. 그나마 다행이다.
컬러 풀프레임 미러리스 비냉각임을 감안하여 간접냉각팬과 두가지 필터를 사용해 촬영했다.
Ha 파장을 찍어줄 옵트롱 lextrem 과 광해를 잡아줄 lquad 필터로 각각 찍어 처리를 해보았다.
수소영역의 붉은 성운과 rgb 별상이 잘 나와주어 다행이다.


여하튼 고정관측지가 되어버린 강진 근무지에서의 첫 작품이라는 것, 또 미러리스 카메라를 이용한 천체촬영의 바로미터라는 것 때문에 데이터를 처리하는 내내 결과물이 어떨까 사뭇 궁금했다.
결과는 만족이다.


'천문관측 > 성운촬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Quattro 8'') IC5146 누에고치성운 (0) | 2024.11.20 |
---|---|
(Canon RP) 백조자리 Cygnus 광시야 촬영 (2) | 2024.11.09 |
(Canon RP)Cr302 그리고 푸른말머리 (0) | 2024.07.27 |
(fra600) 은하수영역 m20&ngc7000 (0) | 2024.07.15 |
(Samyang135/Canon RP)오리온자리 광시야 (0) | 2024.02.15 |